3년 4개월간 길고 길었던 터널 끝났다…코로나 엔데믹 선언

이민정 기자
이민정 기자
mj@issuepicker.com

드디어 한국에 사실상 ‘엔데믹’ 선언이 내려졌다.

11일 정부는 다음 달 1일부터 코로나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하고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 의무를 없앤다고 밝혔다.

마스크 착용 의무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을 빼곤 모두 권고로 전환된다.

이하 뉴스1

2020년 1월20일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고강도의 확진자 격리 조치와 사회적 거리두기 등 다양한 방역 규제에서 버텨온 국민들은 3년 4개월 만에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라는 긴 터널의 끝이 왔다.

중국발 신종 감염병이 우리나라에 처음 상륙한 것은 지난 2020년 1월 20일이었다. 이후 약 3년 4개월간 우리나라는 코로나19의 길고 어두운 터널을 지나야 했다. 첫 환자 발생 직후 코로나19 감염병 위기경보는 ‘주의’로 상향했고, 이어 2월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올라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선언은 그해 2월 29일 이뤄졌고 이후 집단감염 위험시설 운영제한 조치 등으로 점차 강화했다. 마스크 수요가 늘자 3월 마스크 5부제까지 등장해 3개월 가까이 유지됐다. 마스크 착용은 2020년 10월 의무화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단계를 오르내리며 강화와 완화를 반복했다.

2021년 2월 의료진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됐는데 그해 여름 거센 확산세가 이어지자 2021년 7월 수도권에서부터 최고 단계인 4단계에 진입했다.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의 모임은 금지되고, 1인 시위 이외의 집회와 행사는 전면 금지됐다. 결혼식과 장례식엔 친족만 참석할 수 있었다. 그해 11월 ‘위드 코로나’로 방역체계를 전환하고 방역패스를 도입하며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12월 1일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첫 발생과 함께 유행이 다시 확산하면서 일상회복에도 제동이 걸렸다.

이전 델타 변이보다 확산세가 훨씬 빠른 오미크론 변이 유입으로 2022년 3월 17일에는 하루 확진자수가 62만명에 달하고, 3월 24일엔 하루 469명의 사망자가 한꺼번에 나오기도 했다. 오미크론 대유행은 역설적으로 방역 완화 흐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됐다.

2022년 3월 말부터 접종을 완료한 입국자에 대한 격리를 면제했고, 4월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하며 코로나19 감염병 등급도 1급에서 2급으로 낮췄다. 입국자 격리는 6월, 입국 전과 후 검사 의무는 9월과 10일 잇따라 해제됐다. ‘코로나19 동반자’인 마스크 착용 의무도 작년 5월 실외 일부 공간을 시작으로 점차 해제돼 이번에 완전히 사라지게 됐다.

역시 이번에 전면 해제된 확진자 격리 의무의 경우 사실상 코로나19 첫 환자 발생 전부터 시작됐다. 초반엔 ‘회복 후 검사 결과가 24시간 간격으로 2회 음성일 경우’ 격리를 해제하는 것으로 했다가 여러 차례 지침이 바뀌어 확진일로부터 10일, 다시 7일로 축소돼 지금까지 유지돼 왔다

다만 방역 규제가 풀렸다고 해서 코로나19가 종식된 것은 아니다. 여전히 1주일에 10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10일까지 최근 1달간만 239명이 코로나19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전문가들은 감염 취약계층에 대한 관리에 신경 쓰면서 새로운 감염병에 대한 대비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최신기사